반응형
#1 로버트 로젠탈
로버트 로젠탈은 이 분야에 상당한 공헌을 한 영향력 있는 사회 심리학자입니다.
- Rosenthal은 로젠탈 효과라고도 알려진 피그말리온 효과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 로젠탈의 가장 주목할만한 공헌 중 하나는 제이콥슨과 공동으로 수행한 피그말리온 효과 또는 로젠탈 효과에 대한 그의 연구입니다.
- 로젠탈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대인 관계 기대 효과 및 실험자 편견의 영향을 포함한 다른 주제에 대한 연구를 했습니다.
- 로젠탈의 작업은 인간 행동에 대한 기대, 고정관념 및 사회적 영향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대인관계 기대: 이론, 연구 및 응용" 및 "교실의 피그말리온: 교사 기대 및 학생의 지적 발달"을 포함하여 수많은 논문을 발표하고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습니다.
로버트 로젠탈(Robert Rosenthal)의 연구는 기대가 인간 행동과 대인 관계에서 신념 체계의 힘을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연구는 심리학 분야에서 계속해서 영향력을 미치고 널리 인용되고 있습니다.
#2 피그말리온 효과 (=로젠탈 효과)
"로젠탈 효과"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피그말리온 효과" 또는 "자기 충족 예언"으로 알려진 현상을 말합니다. 이 주제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미국 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 피그말리온 효과는 타인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가 개인의 성과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교육 환경에서 교사가 특정 학생이 매우 똑똑하고 잠재력이 크다고 믿는다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의 행동을 통해 이러한 높은 기대치를 자신도 모르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 결과적으로 학생은 이러한 기대치를 내면화하고 충족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잘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교사가 학생에 대한 낮은 기대치를 가지고 있다면 그 학생은 성과가 저조하여 초기의 부정적인 기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피그말리온 효과는 누군가가 다른 사람의 능력이나 잠재력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가질 때 자신도 모르게 그 사람에게서 더 높은 성과를 끌어내는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기대는 개인의 자기 인식, 동기 및 전반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실제 성과에 영향을 미칩니다.
- 개인이 긍정적인 기대를 받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신뢰한다고 믿을 때 더 나은 성과를 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들이 받는 자신감, 동기 부여 및 지원 증가는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피그말리온(=로젠탈) 효과는 교육을 넘어 업무 수행, 운동 수행, 심리 실험 등 다양한 맥락에서 연구되었습니다. 그것은 기대의 강력한 역할과 그것이 개인의 성취와 행동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 로젠탈 효과는 모든 상황에서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 아니며 그 존재와 크기는 특정 상황, 관련된 개인, 당면한 작업의 복잡성을 비롯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은 인간의 행동과 성과에 대한 기대의 잠재적 영향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로젠탈효과 또는 피그말리온 효과는 교육환경을 넘어 직장, 인간관계와 같은 다양한 맥락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기대의 힘과 기대가 개인의 성과와 행동을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지를 강조합니다.
- 피그말리온 효과가 모든 상황에서 보장된 결과는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긍정적인 기대는 성과를 높일 수 있지만 부정적인 기대는 그 반대의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차, 상황적 요인 및 기타 변수는 성과에 대한 기대치의 영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피그말리온 효과 연구는 개인의 결과를 형성하는 데 있어 기대의 힘과 자기 충족적 예언을 조명합니다
그의 공헌은 사회심리학의 이해와 인간 행동에 대한 기대의 역할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웃음과 칭찬은 아낄수록 손해 본다는 프랑스 속담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죠.
칭찬에 인색한 당신을 변화시켜 보세요.
칭찬이 가져다주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세요.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부조화 이론 사회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 (0) | 2023.06.19 |
---|---|
영향력 및 설득의 심리학자 로버트 치알디니 (0) | 2023.06.18 |
심리학자 휴고 뮌스터베르크 (0) | 2023.06.16 |
캐나다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 (0) | 2023.06.15 |
프랑스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넷 (0) | 2023.06.14 |